티스토리 뷰

반응형

영화 완벽한 타인은 2018년 개봉한 한국 영화로, 원작은 2016년 이탈리아에서 제작된 동명의 영화입니다. 단 한 장소, 단 하나의 식탁에서 벌어지는 저녁 식사 속에 감춰진 수많은 비밀들이 휴대폰이라는 장치를 통해 폭로되며 인간관계의 본질을 날카롭게 파헤칩니다. 이 글에서는 완벽한 타인의 전체 줄거리, 인물 간의 역학 구조, 그리고 이 영화가 던지는 사회적 메시지까지 깊이 있는 리뷰를 담았습니다.

 

영화 완벽한타인 포스터

 

 

 

줄거리 요약: 저녁 식사 한 끼가 만든 재앙 (스포 포함)

영화는 오랜만에 만난 7명의 친구들이 부부 동반으로 저녁 식사를 하면서 시작됩니다. 이들은 모두 40대 중후반의 나이로, 자녀 문제, 부부 갈등, 직업 스트레스 등 현실적인 문제를 안고 살아가는 인물들입니다. 와인을 마시며 대화를 나누던 중, 한 명이 “우리 오늘은 휴대폰을 공개하자. 전화, 문자, 카톡 다 공유하면서 아무 비밀 없이 지내보자”라고 제안합니다. 장난처럼 시작된 이 제안은 곧 영화의 핵심 장치로 작용합니다. 처음엔 가벼운 메시지와 통화가 오가며 웃음이 터지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숨겨졌던 진실들이 드러나기 시작합니다. 외도, 성 정체성, 직업 문제, 거짓말, 이중생활 등 각자의 스마트폰은 그들의 두 얼굴을 낱낱이 드러냅니다. 결국 모두의 신뢰는 무너지고, 분위기는 싸늘하게 얼어붙습니다. 그러나 영화의 마지막 장면, 모두가 집으로 돌아가는 모습은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그려지며 관객을 혼란에 빠뜨립니다. 알고 보니 이 모든 사건은 상상 속 이야기였고, 실제로는 아무도 휴대폰을 공개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영화는 우리에게 묻습니다. "과연 이 게임을 실제로 할 수 있을까?" 그 누구도 '예'라고 말하기 어려운 질문입니다.

 

 

인물 해석: 웃고 있는 얼굴 뒤의 진실

완벽한 타인 속 인물들은 모두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람들입니다. 이들은 단순한 캐릭터가 아니라,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평범한 중산층의 다양한 유형을 대표합니다. 태수(유해진)는 영화 속 유일하게 겉과 속이 크게 다르지 않은 인물입니다. 자녀와의 갈등, 와이프(염정아)와의 생활 등 현실에 지친 가장으로서, 큰 비밀은 없지만 소통의 벽에 좌절합니다. 석호(조진웅)는 권위적인 아버지, 이중적인 인간상으로 그려집니다. 아내 수현(송하윤)의 외도를 처음엔 부정하다가 인정하고 폭발하는 장면은 인물 내면의 불안을 보여줍니다. 영배(윤경호)는 정체성을 숨긴 채 살아가는 캐릭터로, “이 시대의 진짜 약자”를 대표합니다. 그가 숨기고 있었던 동성애 사실은 관객에게 큰 충격이지만, 동시에 깊은 공감을 자아냅니다. 준모(이서진)는 겉으로는 유쾌하지만 가장 이중적인 면을 지닌 인물로, 여러 여성과의 문자를 통해 이중생활을 들키게 됩니다. 나머지 인물들도 각자의 결핍과 비밀을 갖고 있으며, 이들 모두는 ‘완벽한 타인’이라는 제목에 걸맞게 서로를 잘 안다고 생각했지만 사실은 아무것도 모른 채 살아온 존재들임을 드러냅니다.

 

 

영화가 던지는 메시지: 우리는 정말 친구인가?

완벽한 타인이 전하는 가장 큰 메시지는 프라이버시와 인간관계의 경계입니다. 현대인에게 휴대폰은 단순한 도구를 넘어 자신 그 자체입니다. 연락처, 사진, 메모, 감정, 실수, 욕망까지 모두 담겨 있기 때문입니다. 영화는 그 휴대폰을 오픈한다는 설정 하나만으로 인간의 민낯을 까발립니다. 이 영화가 의미 있는 이유는 “비밀이 있는 사람 = 나쁜 사람”이라는 이분법적 결론을 내리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비밀이 있다는 것 자체가 문제라기보다, 인간은 누구나 타인에게 보여주지 않는 감정과 진실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합니다. 오히려 모든 것을 공개하는 것이 더 위험하다는 메시지를 던지는 것이죠. 또한, 마지막 반전은 관객을 현실로 끌어내리며 말합니다. “현실에서는 누구도 진짜 마음을 보여주지 않는다. 그것이 나쁘다고 할 수는 없다.” 결국 이 영화는 인간관계에 있어 ‘적당한 거리두기’가 필요하다는 점, 완벽하게 이해한다는 착각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점을 우리에게 조용히 속삭입니다.

완벽한 타인은 공포 영화도, 스릴러도 아니지만 보는 내내 땀이 나는 영화입니다. 스마트폰이라는 소품 하나로 인간 본성, 신뢰, 관계의 민낯을 드러내며, ‘진짜 무서운 건 귀신이 아니라 친구의 문자’임을 절감하게 만듭니다. 극한의 상황 설정 속에서도 현실성과 공감력을 놓치지 않은 이 작품은, 소중한 관계일수록 거리 두기가 필요하다는 현대인의 진실을 날카롭게 꿰뚫습니다. 다시 봐도 여운이 남는 영화로, 인간관계의 복잡성과 프라이버시의 민감성을 되새기게 합니다.

반응형